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시간이 지나면서 화물연대 파업의 대오도 흔들리는 모양새입니다. <br> <br>경제산업부 안건우 기자와 함께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<br><br>Q. 민노총도 화물연대의 대오가 흐트러지고 있는 게 느껴지나 봐요. 이번엔 건설노조가 나섰네요. 이번엔 현장에서 타설작업을 멈추라 공지했다고요?<br> <br>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오늘 SNS에서 민노총 부산 울산 경남 건설노조의 공지사항을 입수했다면서 밝힌 내용인데요. <br> <br>업무개시명령으로 재개되어가는 건설현장을 다시 멈추기 위해 건설노조가 내일부터 타설 작업 중지를 압박하고 나섰다는 겁니다. <br> <br>이런 지침은 약 이틀 전쯤 내려진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지난달 29일 시멘트 분야 업무개시명령 이후 일부 화물연대 소속 차주들이 운송을 재개하는 등 이탈이 일어났죠. <br> <br>차량을 멈춰세우는 것만으로 타격을 주지 못하니 레미콘 타설을 막는 방식을 택한 겁니다. <br><br>Q. 정부가 지난달 29일 내린 업무개시명령이 효과가 있었던 걸로 보이는데요. 화물차주들 생각이 궁금합니다.<br> <br>저희가 운송을 희망하는 화물차주와 통화해봤습니다.<br> <br>들어보시죠. <br> <br>['운송 희망' 화물차주] <br>"저도 아는 운송사도 있고 차주분들이랑 대화를 해보면 가장 큰 걱정은 이번 시기로 인해서 혹시나 거래처를 잃게 될까. 금액적인 부분을 신경 쓴다기보다 일단은 거래처를 잃는다는 것에 걱정을 많이 하고 계세요." <br> <br>지금 운행하지 않으면 안 그래도 안 좋은 경기에 거래처까지 잃을 수밖에 없거든요. <br><br>Q. 원희룡 장관은 혹시 화물연대 방해로 운송재개를 못하는 화물차주가 있다면 언제든 제보해달라고 했잖아요. <br><br>이게 국토교통부에 제보된 사실확인서입니다. <br> <br>"협박과 폭언으로 배차를 중단했다" "복귀할 텐데 안전보장이 중요하다" 이런 내용이었습니다. <br><br>복수의 국토부 관계자 말을 종합해보니 "울며 겨자 먹기로 운송 거부에 동참하고 있지만 업무개시명령서만 받으면 어쩔 수 없는 척 복귀하겠다는 화물차주들도 있다"고 합니다.<br><br>Q. 실제로 노조들 사이에서도 이거 사실 '정치파업 아니냐' 이런 목소리가 나온다면서요?<br> <br>말씀대로입니다. <br> <br>사흘 전 서울교통공사가 파업을 철회한 배경이기도 합니다. <br> <br>서울교통공사의 제3노조, 올바른 노조가 "정치파업을 하지 않겠다"며 파업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교통공사가 파업을 철회했고요. <br> <br>그 다음날 파업카드를 만지작거렸던 철도노조도 파업을 철회하면서 화물연대가 노렸던 '겨울 투쟁 연대' 전략이 무산됐습니다. <br><br>Q.어쨌든 파업 이탈층이 서서히 복귀하는 움직임은 나타난다는 거죠. 확실히 체감될 만한 신호가 있습니까? <br><br>정부가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게 물동량입니다. <br><br>정부가 매일 발표하는 전국 12개 항만의 컨테이너 반출입량에 변화가 생기고 있습니다. <br> <br>컨테이터 국제 표준 단위가 TEU인데요.<br><br>우리가 흔히 보는 무역선 컨테이너 박스 1개와 같습니다. <br> <br>전국 항만에서 반출입되는 컨테이너 개수가 파업 시작하니까 뚝 떨어졌다가 시멘트 업계 업무개시명령이 떨어진 이후 회복되는 게 보이죠. <br> <br>특히 밤에 증가 추이가 두드러지는데요. <br> <br>어젯밤부터 오늘 새벽까지 간밤에 반출입된 컨테이너가 1만 2천개로 일주일 만에 2배 가까이 늘었습니다.<br> <br>낮에는 화물연대 지도부 눈치를 보다가도 밤이 되면 문을 열고 운송을 허용하는 움직임이 포착된다는 게 국토부의 분석입니다. <br><br>Q. 민노총이 오는 6일 총파업을 또 예고했잖아요. 정부가 앞으로 어떻게 대응할지 궁금합니다.<br> <br>이번 주말 건설 현장이 쉬었기 때문에 더 큰 피해가 나타난 건 없지만 내일부터는 영향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예의주시하겠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이미 콘크리트 타설을 못해서 피해를 입은 곳이 있죠. <br> <br>한국토지주택공사, LH가 건설하는 공공주택의 경우 전체 현장의 절반 정도가 차질을 빚었는데요. <br> <br>LH는 입주 지연 같은 피해가 발생하면 손해배상청구를 하겠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윤석열 대통령이 오늘 말한대로 불법 행위에 대해 끝까지 책임을 묻는 강경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